2025/03/17 3

범죄심리(18)

법정 및 법정심리학의 연구 결과 중에서 목격자의 진술, 면담기법, 신문과 자백, 거짓말 탐지 기법 등으로 늘 존재하는 범죄의 지능화 첨단화를 탐지하고 처벌하려는 제도와 시도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1. 법정심리학 법정심리학 분야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며 시대에 따라 새로운 개념과 역할이 계속 포함하므로 명확하게 정의 내리기가 쉽지 않다. 포괄적인 정의를 내린 라이츠먼은 법정심리학은 법적 세계의 일들을 위해 심리학적 지식이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최초로 심리학 실험을 한 사람은 1893년 목적자 증언의 정확성에 대해 학술지를 창간한 카텔,법적심리학에 대한 첫 전문 서적인 를 출판한 뮌스터버그가 법정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1911년 벨기에 바렌돈크는 형사재판에 증언을 한 최초의 심리학..

신경계(17)

신경계내에는  수많은 뉴런있으며 일률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지않는다. 뉴런간의 정보 전달이 주로 전기적 신경신호와 신경전달물질의 혐업으로 이루어지다.  신경전달물질의 특성에 따라 뉴런의 활동 양상이 달라지고 종국적으로는 행동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1.중추신경계는 행동을 조절하며 뇌는 해부학적으로 크게 전뇌, 중뇌, 후뇌로 나뉜다.  1) 신경계 종뇌대뇌피질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및 후두엽으로 구분한다. 전두엽은 일차 운동피질과 전두연합피질로 구성된다. 일차운동피질은 중심구의 바로 앞부분으로 신체 특정부위에 대한 운동명령하는 곳이다 전두엽의 대분을 차지하는 나머지 영역이 전두연합피질인데 종합적인 사고판단 추론 인지적 판단. 인지적 해석 등의 높은 기능과 부적절한 행동을 제어하며 앞으로 일을 계획하는..

행동의 생리학적 기초(16)

우리행동은 신경계를 구성하고 있는 뉴런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뉴런이 다른 뉴런들과 신경 교신하는 원리 및 기체에 대하여 알아보고 우리는 신경계 수준에서 특정 행동이 각 신경계  내의 뉴런들의 활동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이처럼 인간행동을 토대를 주로 생리학적 신경화학적 접근을 통해 알아본다.    1.행동의 생리학적 기초  신경전달의 기본단위 1)뉴런의  구조와 기능신경계의 기본단위인 뉴런은 세포체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나온 다수의 수상돌기와 함께 한 개의 축색을 갖추고 있는 다극성 뉴런이다.  세포체는 뉴런의 중심 부분이며 대체적으로 타원형의 외형을 띠고 있고 그 중심부에는 핵이 포함되었으며 축색및 수상돌기를 포함하는 뉴런의 다른부분들은 정보 전달을 위해 세포 전달을 위해 세포체에서 분화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