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

사회속의 개인(10)

다른 사람들의 행위 때문에 생긴 특정인의 행동 변화를 일컬으며 사회적영향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매우 흔하게 일어나는 현상으로 단순한 암시에서부터 강력한 세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1)동조 (1)정보적 영향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들의 특정 행동을 자발적으로 따라 하는 것을 동조(conformity)라 한다. 가령 대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의 머리 스타일이나 복장을 따라서 그와 비슷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면 왜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동조하는 것인지 그 한 가지 이유로 자신의 개인적인 판단보다는 다수의 의사결정이 더 타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집단의   영향은 올바르고 합리적인 판단을 하고자 하는 우리의 욕망을 기초한다.  (2) 규범적 영향 자신의 의견이나 결정이 옳고 집단이 틀렸다..

사회속의 개인 태도와 행동(9)

사람들의 태도가 늘 일관적인 것은 아니다. 그 대상에 대한 인지적 및 정서적 요소들의 변화로 인해 태도가 달라지기도 하고 태도 대상에 대한 행동의 변화로 인해 태도가 달라지기도 하고, 태도 대상에 대한 행동의 변화를 통해서 태도가 변하기도 한다. 또, 다른 사람의 설득에 의해 특정 대상에 대한 자신의 태도가 달라지기도 한다.                                                                                  사회속의 개인 1)태도 변화 (1) 인지 부조화 이론(cognitive dissonance theory) 사람들은 자신의 태도와 행동 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기 때문에 비일관성 혹은 부조화는 심리적 긴장을 야기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행동..

자아구성요소(8)

자아의 구성요소를 제임스는  세 가지로 분석하였다. 물리적 자아는 신체, 재산 등과 같이 물질적으로 이루어진 것들이다. 이러한 요소는 내가 누구인지를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다른 사람들이 나를 인식하는 데 가장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다. 사회적자아는 다른 사람들이 나에 대해서 가지는 인상들이나 평가들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그들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우리를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우리 자신의 자기개념도 달라진다.자기에 대한 지식이나 신념을 통틀어서 자기 개념(self concept)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