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행동과 심리학에서 없이 관심의 대상이었다. 사람들이 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관심을 보이는 주제 중 하나는 성격에 대한 것일 것이다. 자신의 성격이 어떤지. 소개로 만난 상대방의 행동이 성격 때문인지 성격을 바꿀 수 있는 것인지 혈액형에 따라 성격이 다른지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성격을 궁금해하면서 파악하려고 애쓴다. 그러한 과정속에서 사람들은 나름대로의 이론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을 판단하고 평가한다.
성격심리학자들은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인간의 성격을 측정하고 축적된 결과를 토대로 평가한다는 점에서 일반사람들과는 다르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성격심리학자들의 성격을 어떻게 정의 하고 분석하는지를 살펴보겠다.
1.성격의 이해
1)인간의 행동과 심리학에서 성격의 정의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성격은 한 개인을 특정짓는 독특한 면이 그 핵심이다. 즉, 다른 사람과는 구분되는 그 사람만의 특성을 의미한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성격은 여러 상황에서 비교적 일과성 있게 나타나는 행동 및 사고방식이 여러 상황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한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성격은 개인의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라서 개인의 성격을 연구할 때 일상생활에 얼마나 적응적인지가 중요한 관삼사가 된다. 따라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주는 심리적 적응의 문제를 성격심리학의 중요한 문제로 다루고 있다.
2)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성격의 요소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성격이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의 연극 배우들이 무대에서 얼굴에 쓰던 가면인 페르소냐에서 유래하였다. 이 어원에서 의미하는 바를 생각해 보면 성격이라고 하는 것인 내면적인 특성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나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타인에게 보이는 측면을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하게 특성·기질 역시 성격을 표현하는 용어로써 특성은 개인이 타고난 선천적인 생물학적 유전 요소를 말한다는 점에서 구분될 수 있다.
3)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에서 성격심리학의 목표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성격심리학을 연구하는 첫 목표는 의미 있고 안정된 사람 간의 개인차를 파악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같은 상황에서도 서로 다르게 반응한다. 예를 들어 시험에 실패를 하였을 때 어떤 사람은 낙심해서 무기력에 빠지거나 우울증을 앓거나 아예 포기 하기도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잠시 실망을 하였다가 다시 노력하자는 다짐을 하고 곧 회복하여 더 열심히 공부하기도 한다. 이렇게 같은 상황에서 사람들이 서로 다른 행동을 보이는 것을 '성격'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성격심리학의 두 번째 목표는 한 개인의 행동 방식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지금까지 축적된 행동 방식을 토대로 미래에 그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예측하는 것이다. 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생각과 행동을 보이던 사람이 중요한 시험에 실패했다면 우리는 그 사람이 혹시 낙담하여 나쁜 일을 저지르지나 않을까 더욱 걱정하게 된다. 한 개인의 평소 행동 및 사고방식에 대해 기술할 수 있고 그 기술을 토대로 앞으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예측하기 때문이다. 성격심리학자들도 일반사람들이 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성격을 기술하고 예측한다. 그러나 직관적이거나 민간 속설에 의한 기술과 예언이 아니라 과학적 검사 도구와 지금까지 축적된 심리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술하고 예측한다는 점에서 일반사람들과는 다르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성격심리학의 세 번째 목표는 사람들의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특정한 사고,행동,정서가 나타나는 원인을 알아내려하는 것이다. 낙관적이며 주변 사람들에게 친절한 태도를 지닌 사람이라고 하면 그 사람이 그러한 성격을 형성하게 된 심리적 원인이 무엇인가를 설명하려고 한다.
1)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에서의 특성이론
(1)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유형론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성격 이론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을 어떤 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의 성격이 어떻다고 설명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체액론은 유형론의 가장 오래된 이론은 히포크라테스 이론으로 히포크라테스는 인간의 몸속에 있는 네 가지 체액 중 어떤 것이 우세한가에 따라 알 수 있는데 흑담즙, 황담즙등ㅇ 네 가지 체액이 있는데 혈액이 우세하면 낙천적이며 다혈질이고 흑담즙이 우세하면 우울하며 황담즙이 많은 사람은 성마르고 화를 잘 내며 점액질이 많은 사람은 침착하고 냉담한 성격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체형론은 신체 유형에 따라 성격을 분류한 이론인데 크레츠머(Kertschmer)는 체형에 따라 사람을 쇠약형 비만형 근육형 이상 신체형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고 각 체형에 따라 성격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쇠약형은 가냘프고 마른 사람으로 정신분열증에 걸릴 성향이 많고 비만형은 정서불안정 성격과 관련되고 조울증에 걸릴 성향이 많고 근육형은 강하고 근육이 발달된 사람으로 정신분열증 및 조울증을 나타내는 경향이 많다고 주장하였다.이러한 세가지 범주에 부합하지 않는 신체 유형을 이상신체형이라고 하였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학 체질론은 크레츠머의 신체 유형에 따른 성격 분류와 유사한 맥락에서 미국 심리학자인 샐돈(Scheldon)이 신체 유형에 따른 체질론을 제안한 것이다. 즉 사람들은 내배엽형, 중배엽형, 외배엽형으로 나누고 내배엽형은 사교적이고 온화하고 애정적이며 차분한 내장 긴장형으로 분류하였고, 중배엽은 근육형으로 샘이 넘치고 경쟁적이고 공격적이며 대담한 기질인 신체 긴장형, 외배엽형은 쇠약한 체격으로 지적이며 내향적이고, 초조하고, 자의적인 기질인 대외긴장형으로 분류하였다.
'인간행동과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발달이론(6) (0) | 2025.03.09 |
---|---|
사회적 자각(7) (0) | 2025.03.09 |
심리측정과 평가(5) (0) | 2025.03.09 |
인간행동과 심리학에서의 정신분석이론과 인본주의 이론(3) (0) | 2025.03.08 |
인간행동과 심리학(2) (0) | 2025.03.07 |